The Link Between August Birthdays and A.D.H.D.


A.D.H.D와 8월 생 사이의 상관관계. 

A new study raises questions about age, maturity and overdiagnosis.

새로운 연구가 나이, 발달성, 그리고 과잉 진단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다. 

By Anupam B. JenaMichael Barnett and Timothy J. Layton






Nov. 28. 2018 


Posters about feelings, learning and empathy in a second-grade class in Minneapolis.CreditCredit
감정에 대한 포스터, 공감을 배우는 미네폴리스의 2학년 교실
Tim Gruber for The New York Times


The rate of diagnosi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children has nearly doubled in the past two decades. Rates of A.D.H.D. diagnoses also vary[각주:1] considerably[각주:2] across states, with nearly three times as many children getting the diagnosis in Kentucky (where one in five children are said to have the condition) as in Nevada. More than 5 percentof all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now take an A.D.H.D. medication. These facts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disease is being overdiagnosed.

 과잉행동 주의력 결핍장애를 진단 받는 아동의 수가 지난 20년간 2배로 늘었다. A.D.H.D.를 진단하는 비율 또한 주에 따라 현저히 다르다. 켄터키 주에서는 네바다 주에 비하여 약 3배 이상의 아이들이 A.D.H.D.를 진단 받는다. (캔터키 주에서는 5명중 1명의 아이들이 질병을 가지고  있다고 전해진다.) 미국 전역 에서는 5%이상의 아이들이 ADHD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 그러한 사실은 그 질병이 과잉 진단 되는 것은 아닌가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Diagnosing A.D.H.D. is difficult. Unlike other childhood diseases — such as asthma[각주:3], obesity[각주:4] and diabetes[각주:5] — the diagnosis of A.D.H.D. is inherently[각주:6] subjective[각주:7] and depends on the assessment[각주:8] of parents, school personnel[각주:9] and health care providers. For a child who is easily distracted, an assessment of normal, inattentive[각주:10] behavior by one health care provider could be a formal diagnosis of A.D.H.D. by another.

ADHD를 진단히는 것은 어렵다. 천식이나 과체중, 당뇨병과 같은 다른 아동기 질병과는 다르게 ADHD 진단은 본질적으로 주관적이고 부모, 학교 직원,건강 보험 제공자의 평가에 의존하고 있다. 쉽게 집중력이 흐트러지는 아이나 부주의한 행동을 보이는 아이들은 증상이 보통이라고 평가 될 수도있지만, 어떤 사람들에겐 ADHD 평가 될 수도 있다. 

It turns out that although diagnosing A.D.H.D. requires a subjective interpretation[각주:11] of facts by physician[각주:12]s, the month in which a child is born can be a strong, objective[각주:13] predictor[각주:14].

비록 ADHD를 진단하는 것이 의사의 주관적인 사실 해석을 요구함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아이들이 태어난 달이 강력하고 객관적인 예측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드러냈다. 

Most states have arbitrary[각주:15] cutoffs for kindergarten entry, such that children who do not reach a given age by a certain date are required to wait a year. In 18 states, children who will turn 5 before Sept. 1 can enter kindergarten in the year that they turn 5; children who will turn 5 after Sept. 1 must wait until the next year. So in states with Sept. 1 cutoffs, in any given class, August-born children will usually be the youngest and September-born children the oldest.


 대부분의 주는 유치원 정원을 임의적으로 마감한다, 예를 들어 특정한 날짜에 도달하지 못한 아이들은 일년을 더 기다리는 것이 요구된다. 18개의 주에서는 9월 1일 전에 5살이 되는 아이들은 그들이 5살이 되는 해에 유치원에 입학 할 수 있다. 9월 이후에 5살이 되는 아이들은 이듬해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러니까  9월1일로 마감하는 주에서는 ,어떤 학급 가정하더라도 , 대게 8월 생 아이들은 가장 어린 아이들이고 9월 생 아이들은 가장 나이가 많은 아이들이다. 


These arbitrary entry-age cutoffs have important implications[각주:16] for the diagnosis of A.D.H.D. In a study published i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we found that among several hundred thousand[각주:17] children who were born between 2007 and 2009 and followed until 2016, rates of A.D.H.D. diagnosis and treatment were 34 percent higher among children born in August than among children born in September in states with a Sept. 1 school entry-age cutoff. No such difference was found among children in states with different cutoff dates. The effects were largest among boys.

 이러한 임의적인 입학 나이 마감은 ADHD 진단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약물 뉴 잉글랜드 저녈에서 출간 된 새로운 연구에서, 우리는 2007년부터 2009년 까지 태어난 십 만명의 아이들을 찾아 2016년까지 ADHD 진단과 치료 비율을  추적하였다. 그 결과 9월 1이에 정원 마감을 하는 주에서 8월 생 아이들이 9월 생 아이들보다 34 퍼센트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다른 마감 날짜를 가진 주에서는 차이점이 드러나지 않았다. 이것은 남아들 사이에서 더욱 크게 적용 되었다.  

We believe these findings reveal just how subjective the diagnosis of A.D.H.D. can be. In any given class, inattentive behavior among younger, August-born children may be perceived[각주:18], in some instances[각주:19], to reflect[각주:20] symptoms of A.D.H.D., rather than the relative[각주:21] immaturity that is biologically determined and to be expected among children who are nearly one year younger than September-born classmates.

 우리는 이 결과가 ADHD의 진단이 얼마나 주관적일 수 있는가를 드러낸다고 믿는다. 어떠한 학급을 가정하더라도, 더 어린 아이들 사이의 부주의한 행동, 8월 생 아이들이 아마 인지될 것이다, 몇몇의 사례에서, ADHA 증상 으로 반영 된다. 다른 학생들 보다 상대적으로 발달이 덜 된 것으로 인지되기 보다 생물학적으로 결정되 어있다고 인지된다.  그리고 예상된다 9월에 태어난 학급 친구들 보다 거의 한 살 이 어린 아이들 사이에서 

-> 8월 생의 부주의 한 행동이 9월 생들보다 발달이 덜되어서 나타나는 행동으로 진단 되는게 아니라 유전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 될 가능성이 더 많다 

The stakes of additional, potentially inappropriate diagnoses are high, particularly[각주:22] when diagnoses are accompanied[각주:23] by medical treatment, which has side effects. In cases where A.D.H.D. is appropriately diagnosed, we know that behavioral and medical treatments can improve concentration[각주:24], school performance and other outcomes. And in these instances[각주:25], the harms of medical treatments are, on average, outweighed by the benefits. But when the disease is improperly[각주:26] diagnosed, the clinical harms and dollar costs of treatment may not be met with commensurate benefits.

 추가적으로, 특히 진단들이 부작용이 있는 약물적 치료를 동반할 때, 잠재적으로 부적절한 진단들이 많아진다. ADHD가 적절하게 진단 되는 지역의 경우에, 우리는 행동적, 약물적 치료가 집중력 향상과 학업 수행 그리고 다른 결과들을 개선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리고 그리고 그러한 사례에서, 평균적으로 장점이 약물 치료의 피해 보다 우세 하다.  그러나 그 질병이 부적절하게 진단 될 때, 임상적인 피해와 치료의 금전적 손해가 합리적인 장점과 접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다. 

Unlike other diseases such as asthma and diabetes, whose diagnosis is more objective and is not based on peer-to-peer comparisons[각주:27], the diagnosis of A.D.H.D. appears heavily influenced by how children behave in school relative to peers and how those differences in behavior are interpreted[각주:28] by school personnel, parents and ultimately[각주:29], physicians. Indeed, some evidence suggests that teachers and other school personnel are more likely than physicians or parents to first suggest that a child may have A.D.H.D.

  객관적이고 다른 사용자간의 비교에 기반을 한 것이 아닌  천식이나 당뇨병같은 다른 질병과는 다르게, ADHD의 진단은 아이들이 학교에서 친구들과 어떻게 지내는가 그리고 그러한 행동간의 차이점들이 학교 직원들과 부모들 결과적으로는 의사들에게 어떻게 이해되는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실제로 어떤 증거들들은 선생님들이나 다른 학교의 직원들이 의사나 부모들에 비해 처음으로 아이가 ADHD일수도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Our findings aren’t new, but they suggest a continuing problem. Several older studies, both within and outside the United States, analyze rates of A.D.H.D. diagnosis among children born just before versus just after school entry-age cutoffs, similar in design to our study. Nearly all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younger children within a grade are more likely to be diagnosed with A.D.H.D. than older children in the same grade. One studyfound that the relative age of a child in a class strongly affects teachers’ assessments of whether a child demonstrates[각주:30] A.D.H.D. symptoms but does not affect parents’ assessments, which suggests that many diagnoses may stem[각주:31] from teachers’ perceptions of students that are based on a child’s age relative to peers.


 우리의 발견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들은 계속되는 문제를 시사한다. 미국 안팍에서 진행된 몇 오래된 학교 정원 마감 바로 직전과 바로 직후의 아이들의 출생에 따른 ADHA 비율을 분석한 연구들은 우리의 연구와 유사하다. 거의 대부분의 이러한 연구들은 한 학년안에서 더 어린 아이들이 더 나이가 많은 아이들보다 ADHD를 진단 받을 확률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 연구는 학급안 아이들의 나이 상대성이 그 학생이 ADHD 증상인지 아닌지 입증하는 선생님의 평가에 상력하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찾아냈다. 그러나 그것은 부모의 평가에는 영향을 끼치지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많은 진단들이 학급 학생들에 비교하여 한 학생에 대한 선생님들의 선입견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Our study, which uses recent data, tells us that the problem still exists and that it’s not small. Despite[각주:32] growing awareness that A.D.H.D. may be overdiagnosed and the fact that the medications used to treat it have serious side effects, something as arbitrary as the month a child is born still has a meaningful impact on the likelihood[각주:33] that the child is determined to have the condition.

최근의 수치를 이용한 우리의 연구는 이러한 문제가 아직도 존재하며 작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ADHD가 과잉 진단 되는 것 일수도 있다는 것에 대한 경각심이 증가하고, 치료에 이용 되는 약물이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아이들의 태어난 달이 임의적인 만큼 아이가 문제가 있다고 결정되는 가능성에 의미있는 효과를 끼친다는 사실.

At a minimum, physicians who frequently diagnose A.D.H.D. in children should be aware of these findings. A simple mental “adjustment[각주:34]” for whether a child is born in August may be sufficient to help physicians reduce overdiagnosis.

School personnel and parents should also be aware of how simple cognitive [각주:35]biases[각주:36] can creep[각주:37] into how important clinical decisions are made. Both our and previous findings suggest that parents of children who are young for their grade could reasonably question whether the initiation[각주:38] of medical treatment for A.D.H.D. should be delayed.

최소한 아이들에게 빈번하게 ADHD를 진단하는 의사들은 이러한 결과들에 대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아이들이 8월에 태어 났는지 아닌지가 의사들의 과잉진단을 줄일 수 있는데에 큰 도움이 된다는 간단한 마음 가짐의 변화. 학교 직원들과 부모 또한 의식의 편향이 얼마나 쉽게 중요한 임상적 결정이 만들어지는데에 서서히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인지하여야 한다.  현재와 과거의 연구들 모두 본인의 학년보다 어린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약물 적 치료를 할지 말지에 대한 결정이 미루어 져야 하는가에 대한 합리적인 질문이 될 수 있다

In his 2008 book “Outliers,” Malcolm Gladwell describes the now well-known phenomenon[각주:39] that a disproportionate[각주:40] number of Canadian professional hockey players have birth dates in the beginning of the calendar year. This is explained by the Jan. 1 age eligibility[각주:41] cutoff for hockey programs in Canada, which leads to the oldest hockey players within an age-based division[각주:42] exceeding[각주:43] the age of the youngest players by nearly a year, conferring[각주:44] them a performance advantage[각주:45]. A similar phenomenon is true for A.D.H.D., where a child’s age relative to peers confers a markedly [각주:46]different rate of diagnosis and treatment, but the stakes are higher.

 캐나다 프로 하키선수들의 생년월일의 불균형이 년도의 사작에 따라 시작하는 것에 대한 현상을 밝혀낸것으로 잘 알려진 말콤 글래드웰은 2008년 그의 저서' 아웃라인즈'에서 이렇게 묘사하였다. 그것은 매년1월로 나이 적격성이 마감되는 캐나다의 하키 프로그램이 나이 기반의 분단 안의 가장 나이가 많은 하키선수가 리드하는 일년 가까이 어린 가장 나이가 어린 선수에 비하여 대단한 수행 능력적 우위를 수여한다는 사실을 설명 하였다. 비슷한 현상도 같은 학급 아이들에 비교한 아이의 나이가 ADHD의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현저하게 다른 비율을 가진 ADHD 의 경우에 진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더욱 커지고 있다. 

Anupam B. Jena is an associate professor at Harvard Medical School. Michael Barnett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Harvard School of Public Health. Timothy J. Layton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Harvard Medical School.

  1. 다르다 [본문으로]
  2. 상당히/현저히 [본문으로]
  3. 천식 [본문으로]
  4. 과체중 [본문으로]
  5. 당뇨병 [본문으로]
  6. 본질적으로 [본문으로]
  7. 주관적인 [본문으로]
  8. 평가 [본문으로]
  9. 직원들 [본문으로]
  10. 부주의한 [본문으로]
  11. 해석 [본문으로]
  12. 의사 [본문으로]
  13. 객관적인 [본문으로]
  14. 요인/예측 [본문으로]
  15. 임의적인 [본문으로]
  16. 의미/영향 [본문으로]
  17. 십만 [본문으로]
  18. 인지하다. 인식하다 [본문으로]
  19. 예/ 일례 [본문으로]
  20. 반영하다 나타내다 [본문으로]
  21. 상대적인 비교적인 [본문으로]
  22. 특히 [본문으로]
  23. 수반하다 [본문으로]
  24. 집중 [본문으로]
  25. 사례 [본문으로]
  26. 부적절하게 [본문으로]
  27. 비교적 [본문으로]
  28. 이해하다 [본문으로]
  29. 결과적으로 [본문으로]
  30. 증명하다. 입증하다 [본문으로]
  31. 비롯하다/ 기인하다 [본문으로]
  32. 불구하고 [본문으로]
  33. 가능성, 기회 [본문으로]
  34. 변화/조정 [본문으로]
  35. 인식의 [본문으로]
  36. 편향 [본문으로]
  37. 서서히 다가오다 [본문으로]
  38. 시작/ 입회 [본문으로]
  39. 장관 [본문으로]
  40. 불균형한 [본문으로]
  41. 적격성 [본문으로]
  42. 분단, 분열 [본문으로]
  43. 과도한 대단한 [본문으로]
  44. 수여하다 협의하다 상담하다 [본문으로]
  45. 이점, 우위 [본문으로]
  46. 현저하게 [본문으로]

South Korea Loves Plastic Surgery and Makeup. Some Women Want to Change That.

대한민국은 성형수술과 화장을 사랑한다. 몇 몇의 여성들은 그 사실을 배꾸고 싶어한다. 


Gender inequality and the global #MeToo movement have fueled “Escape the Corset,” a campaign to cast off[각주:1] the country’s rigid[각주:2] beauty standards.


성별간 불평등 그리고 전 세계적인 #미투 운동이 "탈 코르셋" 운동에 연료가 되다. 

탈 코르셋 운동은 국가의 경직된 아름다움의 기준을 벗어 던지기 위한 캠페인이다. 

Alexandra Stevenson
By Alexandra Stevenson
Nov. 23, 2018

SEOUL, South Korea — Kim Ji-yeon knew she wanted plastic surgery when she was 7. For the next 13 years, she destroyed photos of herself until her parents paid for double jaw[각주:3] surgery, a procedure[각주:4] that requires breaking the jaw to realign[각주:5] it.
대한민국 서울 - 김지연씨는 그녀가 성형수술을 원한다는 사실을 7살 때 깨달았다. 그 후 13년 동안 그녀는 그녀의 부모가 양악수술의 비용을 지불할 때까지 그녀의 사진을 파괴했다. 그 수술은 턱을 재정립 하기 위해 턱을 부수는 과정이 요구된다. 

Then Ms. Kim started to question why she devoted[각주:6] so much — $200 a month and two hours a day, she calculated — to her appearance. She cut her hair short. Then she crushed her makeup into pieces.
그리고 김씨는 왜 그렇게까지 많은 시간을 그녀의 외모에 할애 했는지 질문하기 시작했다. (그녀가 계산한 바로는 월 $200와 하루에 2시간정도) 그녀는 머리를 짧게 잘랐다. 그리고 그녀는 화장품들을 조각내 부수었다.

Ms. Kim, 22, is one of a growing group of South Korean women rebelling against their society’s rigid beauty standards — a push they call “Escape the Corset.” Inspired in part by the global #MeToo movement, which has shaken up politics and society in South Korea’s deeply patriarchal culture, the women are challenging long-accepted attitudes about plastic surgery and cosmetics in one of the world’s most beauty-obsessed capitals.
22세 김씨는 사회의 경직된 미의 기준에  대항(그들은 그 주장을 "탈코르셋"이라고 부른다)하는 모임의 일원이다.  전 세계 미투 운동에 일부분 영향을 받았으며 한국의 미투운동은 한국의 뿌리 깊은 가부장제속 정치인과 사회 속 성폭력을 들춰내었다. 여성들은 전 세계에서 가장 '미'에 집착하는 도시 속에서 오랫동안 받아들여져왔던 화장과 성형수술에 대한 태도에 도전하고 있다. 

“Misogyny is more extreme in South Korea, and the beauty industry has made it worse,” said Ms. Kim.
김씨는 " 한국의 여성 혐오는 더 극심해요, 그리고 뷰티 산업이 이것을 더 안좋게 만들었어요." 라고 말했다.

Beauty is big in South Korea. It has the world’s highest rate of cosmetic surgery per capita[각주:7], and it keeps rising. It has become a destination for nip-and-tuck tourism. The beauty market — cosmetics and facial care products like masks — generated[각주:8] $13 billion in sales last year, according to Mintel, making it one of the world’s top 10 beauty markets.
아름다움은 한국에서 큰 부분이다. 전 세계에서 인구 수 대비 가장 높은 성형수술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계속 증가 하고있다. 이것은 입&턱 여행의 종착지가 되었다. 화장품이나 마스크팩과 같은 얼굴 관리 상품과 같은 뷰티 산업은 작년 한 해 130억 달러의 판매를 생산해냈다. 민텔(Mintel)에 따르면 그것은 한국을 전 세계 상위 10위 뷰티 시장으로 만들었다.

Ms. Kim has racks of earrings that she used to wear.Credit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김씨 그녀가 착용 했었던 귀걸이 정리대 

While men are an increasing part of the market, the beauty pressure is aimed mostly at women. K-pop stars who often get extensive cosmetic surgery are held up as the standard. YouTube celebrities with millions of followers offer elaborate[각주:9] tutorials on how to apply makeup. Women are bombard[각주:10]ed with ads across buses, in subways and on TV.
남성들이 그 시장의 일부분을 성장시키는동안, 미에 대한 압박감은 대부분 여성을 향하고 있었다. 자주 비싼 미용시술을 받는 케이팝 스타들은 미의 기준으로 보여져왔다.  백만명의 팔로워를 가진 유튜브 유명인사들은 어떻게 화장을 하는지 상세한 설명을 담은 튜토리얼을 제안해 왔다. 여성들은 버스광고에서 지하철 안에서 그리고 티비에서 수 많은 폭격을 당하고 있었다.

“Born pretty?” reads one in the Seoul subway. “That’s a big fat[각주:11] lie.”

"예쁘게 태어났다?" 한국 지하철에 있는 광고 하나를 읽었다. "그것은 뻔뻔한 거짓말이다."

“We go through 12 steps just to put on the basic products before we even apply makeup,” said Ms. Kim. “That basically defines the problem.”

"우리는 화장을 시작하기도전에 12가지의 기초 화장품을 바르는 과정을 거쳐야해요" 김씨는 말했다. "다시 말하자면 그것 자체가 문제를 뚜렷히 보여주는 거예요"

Women are now pushing back. This summer, tens of thousands gathered to protest against sexual assault, the proliferation[각주:12] of spy cameras taking voyeuristic[각주:13] videos of women and the harsher[각주:14] standards they face in other aspect[각주:15]s of society, from beauty to the law.

여성들은 현재 밀어내고 있다. 올해 여름 수 천 명의 여성이 모여 성폭력에 대항하여 시위 하였다. 여성의 관음적인 비디오를 촬영하는 몰래카메라의 확산과 미용부터 시작해서 법까지에 이르러 사회의 다양한 관점에서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가혹한 기준들에 대항하기 위하여.

Political and economic disparities[각주:16] fuel the anger. South Korea’s wage gap is the highest among countries i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Women hold just one-sixth of the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one-tenth of corporate management positions.

정치 경제적 격차들이 분노의 연료였다. 한국의 임금 격차는 OECD 국가 중 가장 높다. 여성은 고작 6분의1의 국회의석을 가지고 있고 고작 10분의 1의 기업 임원 자리를 차지하고있다.


“The intensity of feminism in South Korea is stronger than in other countries because women really are not part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leadership,” said Yunkim Ji-yeong, an assistant professor of feminist philosophy at the Institute[각주:17] of Body and Culture at Konkuk University.

"한국 페미니즘의 강도는 다른 나라들보다 강력합니다. 왜나하면 여성들은 정말로 정치적 경제적 리더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건국 대학교 신체 문화 연구소 여성학 조교수 윤김지영은 말했다.


In that environment, Escape the Corset has found an audience.

그런 환경에서, 탈코르셋은 청중 한 명을 찾았다.


Bae Eun-jeong, known as Lina Bae, was a YouTube star who gave beauty tutorials.Credit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배리나로 알려진 배은정, 뷰티 유투버로 활동하던 유튜브 스타이다.
Lina Bae’s drawer full of makeup kits.Credit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배리나의 서랍은 화장품 키트로 꽉 차있다. 

Bae Eun-jeong, known as Lina Bae, was a YouTube star who gave beauty tutorials. After hearing about the anti-corset movement earlier this year, Ms. Bae, 21, took a closer look at the comments on her YouTube channel. Many were from young girls who said makeup gave them the courage to go to school

배리나로 알려진 배은정씨는 뷰티유튜버로 활동하던 유튜브 스타였다. 올해초 탈코르셋 운동에 대해 듣게 된 이 후로 배씨는 자신의 채널에 달린 댓글을 자세히 읽기 시작했다. 다수가 많은 어린 소녀들로부터 왔으며, 화장이 학교에 갈 용기를 준다는 내용이었다. 

“I realized there was something very wrong,” said Ms. Bae. “I wanted to do a new kind of video to tell them that it’s O.K. not to make yourself up.”

"저는 뭔가 아주 잘못됐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배씨는 말했다. "저는 그들이 메이크업을 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것을 말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비디오를 하고 싶었어요."

In June, Ms. Bae uploaded a video in which she goes through the laborious[각주:18] process of applying creams, foundation, eyeliner and fake eyelashes. A series of simulated[각주:19] messages like those she has received in the past scroll across the screen. One says: “Your eyes are freaking uneven.” Another one: “I would kill myself if I were you.”


6월에 배씨는 비디오를 올렸다. 비디오 속 그녀는 크림을 바르고, 파운데이션을 바르고, 아이라이너를 그리고, 가짜 속눈썹을 붙이는 어려운 과정을 거쳐나갔다.  그녀가 과거에 받았던 악플들이 비디오 속 에서 보여졌다. 누군가는 " 당신의 눈은 이상하고 짝눈이다." 또 다른 이는 "내가 당신이었다면 자살하겠다." 라고 말했다. 



Then she takes off all the makeup and tells the viewer, “Don’t be so concerned with how others perceive[각주:20] you. You’re special and pretty the way you are.”

그리곤 그녀는 모든 화장을 지우며 구독자들에게 말한다. 다른사람들이 당신을 어떻게 생각할까 너무 고민하지 마세요. 당신은 특별하고 있는 그대로 아름답습니다. 


The video has been watched 5.5 million times. Ms. Bae’s YouTube followers jumped to nearly 147,000 from 20,000. A publisher asked her to write a book. She has since [각주:21]cut her hair short and stopped wearing makeup, saving nearly $500 a month. Now her videos focus on cooking and sharing ideas.


비디오는 5.5백만회 재생되었다. 김씨의 유투브 구독자는 2만명에서 14.7만명 가까이 늘었다. 한 출판 기획자는 그녀에게 책을 쓸 써볼 생각 이 있느냐고 물었다. 그녀는 그 후로 머리를 짧게 잘랐고 화장하는 것을 그만 두었다. 한달에 50만원 가까이 저금하고 있다. 현재 그녀의 비디오들은 요리나 아이디어들을 공유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Cha Ji-won, a video content creator at an urban renewal company, joined the movement earlier this year and created her own YouTube channel, which now has 30,000 followers. Ms. Cha, 22, once thought that spending as much as $700 on makeup each month was not enough. Now she has turned her makeup into slime to play with.


도시 리뉴얼 회사의 비디오 건텐츠 크리에이터인 차지원씨는 이 올해 초 탈코르셋 운동에 합류하였다. 그리고 현재 3만명의 구독자를 가지고 있는 그녀만의 유투브 채널을 만들었다.  차씨는 22살 때 한달에 70만원정도 화장에 쓰는 돈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 현재 그녀의 화장품 사랑은 슬라임 사랑으로 변하였다. 


Before joining the anti-corset movement this year, Cha Ji-won sometimes spent $700 a month on makeup.Credit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올해 탈코르셋 운동에 참여하기전, 차지원씨는 종종 한 달에 $700를 화장품에 사용했다. 


“They are sort of like toys, like crayons,” said Ms. Cha. She used to feel like a second-class citizen, she said, but now that she has stopped wearing makeup “people listen to me when I say things.”

"그것들은 크레용 같은 일종의 장난감이에요" 차씨는 말했다. 그녀는 그녀를 2등시민으로 느끼곤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현재 화장 하는 것을 멈춘 뒤 " 사람들이 이제 내가 뭐라고 말하는지 듣기 시작했어요" 


The movement has sparked an ugly backlash.

탈코르셋 운동은 못난 백래쉬에 대해 말해왔다. 


Ms. Bae, Ms. Kim and Ms. Cha, who all have bowl haircuts characteristic of the movement, say they have become targets of verbal abuse and death threats. Ms. Kim was told by two prospective[각주:22] bosses that she did not look feminine enough. Feminists talk about their peer[각주:23]s “coming out” publicly because many prefer to stay anonymous.

이 운동의 특징적인 짧은 머리를 하고있는 배씨와 김씨 차씨 모두 그들이 언어폭력과 살인 위협의 목표물이 되었다고 말한다. 김씨는 그녀의 예비 상사에게 그녀가 충분히 여성스러워 보이지 않는 다는 말을 들었다. 페미니스트 들은 그들의 동료들이 공식적으로 "커밍아웃" 하는것에 대해 말하고있다. 왜나하면 많은 이들이 익명으로 남아있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Ms. Cha in an older photo from before she joined the "Escape the Corset" movement.Credit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차씨가 탈코르셋 운동에 참여하기 전의 예전 사진.


“The violence against people who leave the mainstream path[각주:24] is very intense in South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aid Seo Sol, 26, who has a YouTube talk show about feminism called “Because There Is Too Much to Say.”

"주류의 방향을 떠난 사람들에 대한 폭력은 다른나라에 비해 한국이 더욱 강력합니다." 할말넘많의 페미니즘 유튜브 토크쇼를 운영하는 26세 서솔씨는 말한다. 


Yim Hyun-ju has experienced the criticism. The 33-year-old anchor at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a national broadcaster, decided to wear her glasses on her morning news show on April 12. Her fake eyelashes were making her eyes so tired that she was going through a bottle of artificial[각주:25] tears every day.

국영방송 MBC의 앵커 33세 임현주씨는 그러한 혹평에 대한 경험을 가지고있다. 그녀는 4월 12일 그녀의 아침 뉴스 쇼에서 안경을 쓰기로 결정했다. 그녀의 인조 속눈썹들이 그녀의 눈을 너무나 피곤하게 만들었고 그녀는 매일 한병의 인공 눈물을 사용 해야 했다. 

It became an online sensation. “I did not think it would become news,” Ms. Yim said.

그것은 큰 센세이션이 되었다 "그게 뉴스 거리가 될 거라고는 생각 못했어요." 임씨는 말했다. 

Ms. Yim’s producers reproached[각주:26] her. Viewers wrote to complain. But women came up to her in public to thank her. Now Ms. Yim wears her glasses from time to time[각주:27], an act that she says sends viewers a message to judge her based on her competence[각주:28] and not her appearance. But she doesn’t want to be identified as part of any movement.

임씨의 감독은 그녀를 나무랐다. 시청자들이 불만을 보냈다. 그러나 여성들이 공식적으로 그녀에게 감사함을 표현하며 나타났다. 이제 임씨는 때때로 그녀의 안경을 착용한다. 그녀가 보여준 행동은 시청자들에게 그녀의 외모가 아니라 그녀의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판단해달라는 메시지를 보낸다. 그러나 그녀는 그녀를 어떠한 운동의 일부로 정체화 하는 것은 원치 않았다. 

“If I could act freely, I would apply makeup less,” Ms. Yim said.

"만약 내가 자유롭게 행동 할 수 있다면 , 나는 화장을 덜 하는걸 택할거에요." 임씨는 말했다. 


“The violence against people who leave the mainstream path is very intense in South Korea,” said Seo Sol, right, who has a YouTube talk show about feminism.Credit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우측, "한국에서는 주류에서 벗어난 사람들에 대한 폭력이 강력해요" 서솔씨는 말했다.  그녀는 유튜브에서 페미니즘 토크쇼 채널을 가지고 있다. 

“But I’m stuck between my mind and heart, which says one thing, but there is the reality of my job,” she added.

"하지만, 나는 마음과 심장사이에서 고민하고있어요 하나를 말하고 있지만 제 직업에 대한 현실도 있지요." 그녀는 덧붙였다. 

Many women in the anti-corset movement credit their actions as having had a small impact on the makeup industry. One recent ad, for the Missha cosmetics brand, features a short-haired model and one with freckles. “Get out, expose your flaws[각주:29] and follow your own standards rather than others’,” it says. Still, they note[각주:30], the women in the ad largely stick to[각주:31] Korean beauty standards — and the women are wearing makeup.


탈코르셋 운동에 참여하는 많은 여성들이 그들의 행동이 뷰티 산업에 작은 타격을 주었다고 인정한다. 화장품 브랜드 미샤의 한 최근 광고는 숏컷 모델과 주근깨가 있는 모델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당신의 결점을 드러내라 그리고 다른이의 기준이 아닌 당신만의 기준을 따라라" 라고 그것은 말한다. 여전히 여전히 그 광고 속 여성이 엄청나게 한국의 미의 기준에 충실하고 화장을 하고있다고 그들은 지적한다. 


Yim Hyun-ju, an anchor at a national broadcaster, decided to wear her glasses on her morning news show. It became an online sensation.Credit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임현주, 공영방송의 앵커, 그녀의 아침 뉴스에 안경을 쓰기로 결정함, 엄청나게 큰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Kim Hong-tae, a spokesman for Able C&C, which owns the Missha brand, said the ad was meant to convey[각주:32] “that there is no predetermined standard of physical appearance.”

미샤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에이블씨앤씨의 대변인 김홍태씨는그 광고가 "미리 결정된 외형적 기준이 없다"라는 것을 전달 하는것을 의도했다고 말한다.


And the social pressure to wear makeup and have a small, heart-shaped face is still strong. Im Soo-hyang stars in a Korean drama called “My ID is Gangnam Beauty,” about a young woman who has plastic surgery and grapples with[각주:33] image issues. The name refers to[각주:34] the upscale[각주:35] Gangnam district in Seoul, where plastic surgery clinics line the streets.

그리고 화장을 하고 작은 하트 모양의 얼굴을 가져야 된다는 사회적 압박은 아직도 강하다. 성형 수술을 받은 한 어린 여성이 이미지 문제를 해결하려고 애쓰는 "내 ID는 강남미인"이라고 불리는 한국드라마에 출연한 임수향씨
그 이름(강남미인)은 성형수술 병원이 줄지어 서있는 서울의 상류층 강남 지역을 나타낸다.  

“I can’t say I’m free from being conscious about people paying attention to me because of the nature of my job,” Ms. Im said during an interview at a hair salon in Gangnam. “Look at me. I have my hair done, I’m wearing makeup, I have my nails done and I’m wearing pretty clothes.”

"저의 직업적인 특성 때문에 제가 사람들의 시선으로부터 자각하는것에 자유롭다고는 말할수 없어요" 임씨는 강남에 있는 그녀의 미용실에서 이뤄진 인터뷰에서 말했다. "저를 보세요, 머리도 했고, 화장도 했어요, 네일아트도 받았고, 예쁜 옷을 입고있어요."

She smiled, then added, “I cannot be liberated[각주:36].”

그녀는 웃었다. 그리고 덧붙였다. "저는 해방 될 수 없어요."

Im Soo-hyang stars in a Korean drama called “My ID is Gangnam Beauty,” about a young woman who has plastic surgery and grapples with image issues.CreditJean Chung for The New York Times
젊은 여성이 성형수술을 받은 뒤 이미지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는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에 출여한 임수향씨 

Su-Hyun Lee contributed reporting
이수현 조사에 기여하다.
Alexandra Stevenson is a business correspondent based in Hong Kong, covering Chinese corporate giants, the changing landscape for multinational companies and China’s growing economic and financial influence in Asia. @jotted  Facebook
A version of this article appears in print on , on Page B1 of the New York edition with the headline: A South Korean Movement To Change Minds on BeautyOrder Reprints | Today’s Paper | Subscribe


  1. 벗어나다. [본문으로]
  2. 경직된 [본문으로]
  3. 양악수술 [본문으로]
  4. 절차 [본문으로]
  5. 재편성하다 [본문으로]
  6. 바치다 [본문으로]
  7. caput의 복수형 머리들 ->인구 [본문으로]
  8. 생산하다 [본문으로]
  9. 설명하다 [본문으로]
  10. 폭격하다 [본문으로]
  11. 뻔뻔한 [본문으로]
  12. 확산 [본문으로]
  13. 관음증의 [본문으로]
  14. 가혹한 [본문으로]
  15. 양상,측면 [본문으로]
  16. disparity 격차 [본문으로]
  17. 연구소 [본문으로]
  18. 어려운 [본문으로]
  19. 가상의 / 시뮬레이트된? / 가상으로 실현된 [본문으로]
  20. ~로 생각하다/인식하다 [본문으로]
  21. 그 이후로 [본문으로]
  22. 예비의 미래의 [본문으로]
  23. 동료 [본문으로]
  24. 방향 [본문으로]
  25. 인조의, 인공눈물 [본문으로]
  26. 나무라다 [본문으로]
  27. 때때로, 이따금 [본문으로]
  28. 능력, 자신감, 권한 [본문으로]
  29. 결점 [본문으로]
  30. 그들은 지적하다 [본문으로]
  31. 고수하다,충실하다 [본문으로]
  32. 전달하다 [본문으로]
  33. ~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다 [본문으로]
  34. ~을 나타내다 [본문으로]
  35. 평균이상의/ 상류층의 [본문으로]
  36. 해방된 [본문으로]

+ Recent posts